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afka3

[Kafka] Raft 알고리즘 📌 Raft 알고리즘 이해하기 – Kafka KRaft를 중심으로Kafka 4.x부터 ZooKeeper가 사라지고 KRaft(Kafka + Raft) 모드가 기본이 되었습니다.Raft는 분산 시스템에서 합의(consensus)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알고리즘인데, 리더 선출과 로그 복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Raft와 관련해 자주 헷갈리는 개념들을 질문/답변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 브로커가 3개일 때, 리더가 죽으면 투표가 불가능한 것 아닌가?아닙니다.3개 브로커일 때 과반수(Quorum)는 2.리더 1대가 죽더라도 2대가 남으면 서로 투표해서 새로운 리더를 뽑을 수 있습니다.다만 2대가 모두 죽고 1대만 남으면 Quorum(2)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선거가 불가능합니다.✅ 정리: .. 2025. 9. 29.
Kafka Consumer Group 카프카에서 “컨슈머 그룹(Consumer Group)”은 확장성·중복제어·장애복구를 한 번에 해결해 주는 핵심 개념이에요. 그냥 “컨슈머 여러 대”로도 읽을 순 있지만, 그룹이 있어야 운영이 쉬워집니다. 이 글은 왜 그룹이 필요한지 → 내부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 실습/운영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1) 한 문장 요약같은 그룹 안에서는 한 시점에 한 파티션은 한 컨슈머만 읽는다 → 중복 소비 없음 + 병렬 확장 + 자동 장애복구다른 그룹이면 독립 구독(팬아웃) → 같은 메시지를 각 그룹이 의도적으로 각각 읽는다2) 왜 Consumer “Group” 이 필요한가A. 병렬 처리로 처리량 확장토픽을 파티션으로 나누고, 그 파티션들을 그룹 내 여러 컨슈머가 나눠 맡아 읽음컨슈머 수를 늘리면 병렬 처리량↑ (단.. 2025. 9. 29.
Event Driven Architecture란? 목차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정의: EDA(Event-Driven Architecture)는 분리된 애플리케이션이 이벤트 브로커(현대 메시징 지향 미들웨어)를 통해 이벤트를 비동기식으로 게시하고 구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는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폴링하는 대신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이벤트가 발생할 때 애플리케이션, 마이크로서비스 및 연결된 장치 간에 정보가 실시간으로 흐르도록 하는 엔터프라이즈 IT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입니다. EDA(Event-Driven Architecture)는 분리된 아키텍처를 통해 이벤트를 기록, 전송 및 처리하도록 구축된 시스템 설계 방식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정보를 공유하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알 필요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2022. 6.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