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용으로 노트북에 ubuntu를 설치해야 할일이 생겼습니다.
최근 VM에 10번 넘게 ubuntu를 설치한경험이 있어 설치는 쉽게 가능할것이라 생각했으나.........
USB부팅으로 ubuntu를 설치했는데 이상하게 부트디바이스가 안잡혀서 부팅이 안됐습니다.
그래서 다시 설치해보면 스토리지에 설치되어있다고 되어 있어서 스토리지 설정을 잘못햇나 라고 생각하여 몇시간동안 재설치를 하였습니다.
해도안되서
VM환경과 다른 점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노트북, USB
이 두가지가 VM과 달랐습니다.
우선 노트북부터 살펴보니
BIOS에서 부팅이 UEFI, CFM 모드가 있는데 제가 쓰는 노트북에 설정은 UEFI/CFM이런식으로 둘다 쓸수있게 설정이 되어있었습니다.
그리고 secure boot 설정을 disable 해야하는데 이것도 disable 되어 있어
BIOS 설정은 잘못된점이 없었습니다.
- Legacy BIOS 모드는 MBR 디스크 파티션을 지원한다.
- MBR 마스터 부트 레코드, master boot record
- MBR 디스크 파티션은 최대 하드 용량 2TB와 파티션 갯수 4개까지 지원한다
- BIOS 모드는 MBR 디스크 파티션으로 제작된 설치 도구가 필요하다.
- UEFI Class 3부터 Secure Boot기능의 온전한 사용을 위해서 MBR 부팅과 같은 BIOS 관련 코드 실행을 지원하지 않는다.
-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 호환성 지원 모듈
- Legacy BIOS 형식으로 부팅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모드
- UEFI 모드는 지원하지 않는 OS(Windows7 이하)나 x86 레거시 모드, DOS 구동 지원
- CSM 모드를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하다.
- Secure Boot를 끄면 CSM이 켜지는 형태. 반대의 경우 CSM을 켜면 Secure Boot가 알아서 꺼지는 경우도 있다.
- UEFI 모드는 GPT 디스크 파티션을 지원한다.
- GPT 파티션 테이블 GPT, GUID Partition Table
- GPT 디스크 파티션은 최대 하드 용량 8ZB와 파티션 갯수 128개까지 지원한다.
- UEFI 모드는 GPT 디스크 파티션으로 제작된 설치 도구가 필요하다.
* Secure Boot 기능
OS 부트 로더가 검증된 인증서에 의해 디지털 서명되었는지를 검증하여 부팅 과정에서의 보안성을 높였다.
디지털 서명되지 않은 경우 또는 검증된 인증서에 의해 서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부팅이 중단된다. 이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려면 Microsoft Windows 계열에서는 Windows 8, Windows 8.1, Windows 10이 설치되어야 한다.
Legacy BIOS 부팅 시 악성 코드가 몰래 실행되어 보안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Legacy BIOS는 Secure Boot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출처: https://shine72.tistory.com/4
다음으로는 USB.
저는 처음에 여기서 설정하는게 별문제 없을거라 생각해서 그냥 넘어갔는데...
제가 처음 썻던 방식은
파티션방식 - MBR 대상시스템 - UEFI
파일시스템 - NTFS
이런식으로 했었습니다.
혹시나 해서
파티션방식을 GPT로 변경하고 만들었습니다.
그랬는데 되더군요...
https://pstudio411.tistory.com/entry/Ubuntu2004-LTS-%EC%84%A4%EC%B9%98%ED%95%98%EA%B8%B0
위에 분 말들어보면 UEFI에 GPT면 파일시스템을 FAT32로 해야한다고 하시는데 저는 NTFS로 햇는데 된거보면 별상관은 없나보지만
*만약 기존 컴퓨터에 윈도우가 MBR방식으로 설치되었다면 파티션방식을 MBR로 설치 해줘야 인식이 됩니다.
라는 건 파티션 방식에 맞게 설정을하고 부팅USB를 만들어야 한다는건 필수적인것같습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ec2) 에서 백스페이스 입력시 ^H,^? 나올때 (0) | 2022.04.27 |
---|---|
Sftp 접속 및 명령어 (0) | 2022.04.25 |
우분투 메모리 확인 (0) | 2022.03.30 |
우분투 NAS 설치 및 설정 (0) | 2022.03.25 |
프로세스 실행 위치 찾기 (0) | 2022.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