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순서는 대략 이렇다
매니페스트 파일 작성 - 클러스터에 리소스 작성 - 애플리케이션 동작 확인
매니페스트 파일 작성은 클러스터에 애플리케이션 몇개 디플로이 등 설정하는것이고
클러스터에 리소스 작성은 실제 클러스터에 배치(리소스란? 디플로이한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이나 네트워크 설정등)
파드가 무엇인고?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workloads/pods/
파드
운영 수준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kubernetes.io
새로운 개념이 나오는데
대충 보면 노드안에 파드, 파드안에 컨테이너가 있다.
서비스 공개도 매니페스트 파일로 하는데 위와 같이 파일을 apply하면 끝이다.
디플로이한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 하기 위한 주소를 확인해보자
external-ip 가 글로벌 ip 주소로서 할당 되어 있으므로 그쪽으로 들어가면 된다.
파드별로 그림을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이라 접속을하면 5개로 나온다
즉 5개 파드로 부하를 분산한다는 뜻이라고 생각된다.
아래는 파드 상세정보를 확인 할수있는 명령어
kubectl describe pods [파드 NAME]
클러스터 내부 삭제하는 방법
Kubectl delete -f [매니페스트파일명]
반응형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의 리소스 (0) | 2021.07.22 |
---|---|
쿠버네티스 특징과 구조 (0) | 2021.07.21 |
kubectl 명령어 기본조작 (0) | 2021.07.21 |
Azure를 사용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작성 (0) | 2021.07.20 |
docker 이미지를 ACR에 올리기 (0) | 2021.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