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인
AWS 내에서 루트 볼륨 용량이 100%라 서버가 종종 떨어지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해당 서버의 스토리지 용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해결방법
물리적 확장
AWS 콘솔에서 간단하게 볼륨수정으로 물리적 용량을 확장시킬수 있습니다.
EC2 대시보드에서 elastic volume store - 볼륨에서
작업- 볼륨수정을 누르고 크기를 늘려주면됩니다.
수정하고 나서 바로 적용이 안됩니다.
볼륨으로 가서 해당 스토리지의 상태를 확인하여 completed 가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이 상태가 되면 작업을 시작합니다!
파티션 확장
물리적으로는 늘어났지만
리눅스에서는 파티션 확장을 해야 합니다.
lsblk로 확인해보면 해당 볼륨이 적용 안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100G로 늘렸는데 /에는 8G만 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이건 스샷을 못찍었네요...)
그래서 적용안된 nvme0n1을 기억하시고 적용해줘야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sudo growpart /dev/nvme0n1p1 1
하지만 용량이 100%로 꽉차있으면 아래와 같이 공간이 없다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임시파일시스템을 생성해줍니다.
sudo mount -o size=10M,rw,nodev,nosuid -t tmpfs tmpfs /tmp
그리고 위의 명령어로 루트파티션의 크기를 늘리면 파티션이 늘어납니다.
파일시스템 확장
마지막으로 파일시스템 확장을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sudo resize2fs /dev/nvme0n1p1
이제 df -h 로 용량이 잘 할당되엇는지 확인해보면 잘되어있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tmp 마운트를 해제합니다.
sudo umount /tmp
Reference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requesting-ebs-volume-modifications.html
EBS 볼륨에 대한 수정 요청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EBS 볼륨에 대한 수정 요청 탄력적 볼륨을 사용하면 Amazon EBS 볼륨을 분리하지 않고도 크기를 늘리고, 성능을 높이거나 낮추고, 볼륨 유형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 절차에 따라 볼륨
docs.aws.amazon.com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recognize-expanded-volume-linux.html
볼륨 크기 조정 후 Linux 파일 시스템 확장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b nlb outbound의 트래픽 흐름은 어떻게 될까? (0) | 2022.08.16 |
---|---|
AWS 자격증 시험 점수 측정(채점) 방식 (0) | 2022.08.09 |
AWS 서버에 ping이 안되는 경우 (0) | 2022.08.02 |
AWS Parameter Store 와 AWS Secrets Manager 공통점과 차이점 (0) | 2022.07.22 |
AWS Site to Stie VPN 을 사용하여 타사(third party cloud)서비스와 연결 (0) | 2022.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