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vmstat 사용법

by Rainbound-IT 2023. 2. 2.
반응형

목차

     

     

     

    사용방법

     

    vmstat 옵션 [간격(초단위)] [횟수]

     

     

    vmstat 예제

     

    2초간격으로 10번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vmstat 2 10

     

     

     

     

    vmstat 출력 값 의미

     

     대분류  소분류  설명
     procs  r  실행시간을 기다리는 프로세스 수
     b  인터럽트가 되지않지만 sleep 상태인 프로세스 수 ( 대부분은 I/O 로 인해 증가합니다. )
     memory  swpd  가상 메모리로 사용되는 양
     free  유휴메모리 양
     buff  버퍼로 사용되는 메모리 양
     cache  캐시로 사용되는 메모리 양
     swap  si  디스크에서 스왑된 메모리 양
     so  디스크로 반환된 메모리 양
     io  bi  블록 장치에서 받아오는 블록 
     bo  블록 장치로 보내는 블록 
     system  in  초당 인터럽트 수
     cs  초당 문맥 전환 수
    * 문맥 전환 : 이전 작업의 문맥(프로세스 상태)을 저장하고 새로운 프로세스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
     cpu  us  사용자 코드를 실행한 시간 ( 비커널 )
     sy  시스템 코드를 실행한 시간 ( 커널 )
     id  유휴 시간
     wa  입출력 대기 시간
     st  가상 머신으로 부터 뺏긴 시간

     

     

    vmstat 옵션

     

     옵션  설명
     -t  날짜 + 시간을 출력
     -w  출력 결과의 너비를 맞춤
     -f  부팅 후 포크된 수
     -d  디스크 상태 조회

     

    Reference

    https://mozi.tistory.com/16

     

    [LINUX] vmstat 시스템 모니터링하기

    vmstat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vmstat 사용방법 vmstat [옵션] [간격] [횟수] 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vmstat 예제 2초간격으로 5번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 vmstat 2 5 vmstat 출력 값 의미 대

    mozi.tistory.com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스케줄러(linux Scheduler  (0) 2023.02.10
    TCPDUMP 명령어  (0) 2023.02.09
    [Linux] Buddy system  (0) 2023.02.01
    smem 에서 나오는 uss, pss, rss 의미  (0) 2022.12.29
    [ubuntu] docker permission 에러  (0) 2022.11.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