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TWORK35

자주 사용하는 port 번호 • 22 = SSH (Secure Shell) - log into a Linux instance • 21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upload files into a file share • 22 = SFTP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 upload files using SSH • 80 = HTTP – access unsecured websites • 443 = HTTPS – access secured websites • 3389 = RDP (Remote Desktop Protocol) – log into a Windows instance 2022. 2. 17.
L2, L3, L4 스위치 L2 스위치는 MAC 정보(MAC Table)를 보고 스위칭을 하는 것이고,(일반적인 스위치의 기능) L3 스위치는 IP 정보(Routing Table)를 보고 스위칭을 하는 것이고,(라우팅 기능이 추가됨) L4 스위치는 IP+Port(Session or Connection)를 보고 스위칭을 하는 것이며,(로드밸런싱을 위해 사용됨) 스위치란? -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허브와 동일하지만 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한다 - 스위치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보내는 곳과 받는 곳을 계산하여 해당 포트로 1대1로 연결한다 (Switching) - 스위칭은 정보 전달의 수단과 회선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입/출력 상태를 감시하며 전송로의 장애.. 2022. 2. 17.
DDNS란? 도메인주소는 같은데 IP가 변경될시 DNS의경우는 연결이 되지 않는다 그것을 해결하기위해 ip가 변경되어도 도메인주소와 연결해주는 방식을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라고 한다 2022. 2. 17.
공유기와 무선ap의 차이 공유기는 ip받아서 사설ip 할당해주는거 무선ap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무선으로 뿌려준다. 해당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는 무선으로 인터넷 연결을 할수있는것으로 같은데 연결되는 과정을 보면 많이 다름 공유기는 혼자서 ip할당하고 인터넷 연결해주나 무선ap는 라우터나 dhcp같은것으로 인터넷 연결할수 있습니다. 무선 ap는 더 많은 사람이 연결할수 있고 연결에 안정성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futuremain&logNo=221618229181 공유기와 AP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스마트팩토리 설비예지보전 전문기업 퓨처메인에서 인사드립니다~ 어느새 우리의 일상 생활 속... blog.naver.. 2022. 2. 17.
Local forwarding(port forwarding, ssh tunneling, ssh -l 옵션) AWS 사용하는데 elastic search 생성하면서 vpc 내부에서만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해놓아 kibana를 외부에서 볼수가 없었다. 그래서 같은 vpc내에 서버를 하나 두고 그서버를 경유하여 kibana를 보려고 했다 구조는 대략 이렇다 로컬 -> 서버 -> elastic search 이걸 접속하려면 전에 포스팅한게 있는데 라우팅하고 cognito로 인증하여 들어가는 방법이 있긴한데 그건 라우팅비용이랑 설정이 번거롭다. 그래서 개인이긴하지만 local forwarding을 하기로 했다. ssh -L [로컬에서들어갈 포트번호] [경유할 서버]:[경유할서버의 포트] [들어갈 서버] 이게 로컬포워드 옵션 그리고 서버에서 해당 포트를 다열어 줘야한다. -N 옵션이 독특한데 리모트 명령을 실행하지 않습니다.. 2022. 2. 16.
OSI 7 계층 봐도봐도 까먹고 헷갈리는 개념 개념으로 먼저 보면 했던소리 또 하기도하고 추상적으로 많이 이야기해서 처음에 뭔소리지 한다. 먼저 예시를 통해 뭐가 있는지 생각하고 개념을 보는게 좋지만 처음에 헷갈리는건 어쩔수가 없는것같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전송할 기기 정의하고 물리적으로 전송할 수단 정하는 계층 전기적 신호를 통신할 물리적 기기라고 생각하면 쉽다. (2,3계층도 물리적이지만 더 세분화 됐다고 생각하면될것같다.) 예시)통신 케이블, 허브, 리피터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주로 물리적 주소(MAC)로 장치를 식별하고 오류없이 전송해줄수 있게 해주는 계층 기능 회선제어: 노드와 노드간의 통신 제어 규범 오류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오류가 포함되는지를 감지한다.. 2021. 8. 17.
DHCP, Gateway DHCP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자동으로 ip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 할당해주는 규약(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쉽게 말해 다른곳으로 이동하기위한 것 좀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서브넷이 다른 즉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위한것. 그러면 라우터와 헷갈릴수 있는데 라우터는 장비라고 생각하면된다. 게이트웨이가 될수도 있고(3계층) 2021. 8. 17.
세션 세션 관리 HTTP 요청에 응답하는 노드에 해당 세션을 로컬로 저장하거나 확장 가능하고 강력한 방식으로 해당 세션을 저장할 수 있는 계층을 아키텍처에 지정하는 등 사용자 세션을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사용되는 일반적인 접근 방식에는 고정 세션 활용 또는 세션 관리를 위한 분산 캐시 사용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로컬 세션 캐싱이 있는 고정 세션 세션 선호도라고도 하는 고정 세션을 사용하면 사이트 사용자를 개별 사용자의 세션을 관리하는 특정 웹 서버로 라우팅할 수 있습니다. 세션의 유효성은 클라이언트 측 쿠키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이나 웹 서버로 요청을 라우팅하는 로드 밸런서에서 설정할 수 있는 구성 가능한 기간 매개변수를 통해 결정할 수 있습니다. 고정 세션을.. 2021. 8. 13.
HTTP HTTP Request 정보 GET /index.html HTTP/1.1 요청 URL정보 (Mehotd /URI HTTP버젼) user-agent: MSIE 6.0; Window NT 5.0 사용자 웹 브라우져 종류 accept: test/html; */* 요청 데이터 타입 (응답의 Content-type과 유사) cookie:name=value 쿠키(인증 정보) refere: http://abc.com 경유지 URL host: www.abc.com 요청 도메인 HTTP Response 정보 HTTP/1.1 200 OK 프로토콜 버젼 및 응답코드 Server: Apache 웹 서버 정보 Content-type: text/html MIME 타입 Content-length : 1593 HTTP BODY 사이.. 2021. 8. 6.
proxy server(프록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서버. 웹 캐시 기능이 있는 경우가 많다. 프록시 패턴의 종류 - 원격 프록시 : 원격 객체에 대한 접근 제어가 가능합니다. - 가상 프록시 (Virtual Proxy) : 객체의 생성비용이 많이 들어 미리 생성하기 힘든 객체에 대한 접근 및 생성시점 등을 제어합니다. - 보호 프록시 (Protection Proxy) : 객체에 따른 접근 권한을 제어해야하는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방화벽 프록시 : 일련의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주 객체를 '나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스마트 레퍼런스 프록시 (Smart Reference Proxy) : 주 객체가 참조될 때마다 추가 행동을 제공합니다. ex).. 2021. 8. 5.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 HTTP | MDN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is an HTTP-header based mechanism that allows a server to indicate any other origins (domain, scheme, or port) than its own from which a browser should permit loading of resources. developer.mozilla.org https://beomy.github.io/tech/browser/cors/ [Browser] .. 2021. 8. 2.
Sticky Session SDN 개념에서 나오는것같다. Sticky session이란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분산하는 기능입니다. 즉, 특정 사용자가 접속을 시도 했을때 처음 접속된 서버로 계속해서 접속되도록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https://waspro.tistory.com/288 라고 여기서 말한다. sticky session이란 mod_jk를 이용하여 로드벨러스를 하는 연장선 상에서 생각할 수 있다. 로드밸런스를 할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인 "사용자 session을 어떻게 유지할까 ?" 이다 tomcat의 cluster 기능을 이용을 해도 되지만 앞단에 방화벽등 multicast를 차단하거나 스위치나 장비에서 지원하지않으면 사용할 벙법이 없다 . 이렬경우 세션에 따라 지정된 서버로 보내는 역활을 .. 2021. 7.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