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단순 라우팅 정책(Simple routing policy) - 도메인에 대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리소스만 있는 경우(예: example.com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의 웹 서버)에 사용합니다.
- 장애 조치 라우팅 정책(Failover routing policy) - 액티브-패시브 장애 조치를 구성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지리 위치 라우팅 정책(Geolocation routing policy) -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트래픽을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지리 근접 라우팅 정책(Geoproximity routing policy) - 리소스의 위치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 필요에 따라 한 위치의 리소스에서 다른 위치의 리소스로 트래픽을 보내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지연 시간 라우팅 정책(Latency routing policy) - 여러 AWS 리전에 리소스가 있고 왕복 시간이 적은 최상의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리전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다중 응답 라우팅 정책(Multivalue answer routing policy) - Route 53이 DNS 쿼리에 무작위로 선택된 최대 8개의 정상 레코드로 응답하게 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가중치 기반 라우팅 정책(Weighted routing policy) - 사용자가 지정하는 비율에 따라 여러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https://medium.com/awesome-cloud/aws-amazon-route-53-routing-policies-overview-285cee2d4d3b
AWS — Amazon Route 53 — Routing Policies Overview
Introduction to AWS Route 53 Routing Policy types
medium.com
다중 응답 라우팅 정책과 단순 라우팅 정책 간 차이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multivalue-versus-simple-policies/
다중 응답 라우팅 정책과 단순 라우팅 정책 간 차이점
표준 DNS 레코드만 필요하며, 가중치 기반 라우팅 또는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등의 특별한 옵션이 필요하지 않은 트래픽의 경우 단순 라우팅 정책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단일 리소스로 트래
aws.amazon.com
반응형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Global Accelerator와 Amazon CloudFront의 차이 (0) | 2022.03.30 |
---|---|
AWS storage gateway 옵션 (0) | 2022.03.29 |
aws certification solution architecture associate 문제 (0) | 2022.03.28 |
aws 관련 가이드 (0) | 2022.03.28 |
AWS EBS 사용하지 않는데 비용 부과 이유 (0)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