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60

[AWS vpn 연결 차이점]Transit Gateway vs Virtual gateway vs Direct Connect Gateway 비즈니스에 가장 적합한 옵션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세 가지 AWS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비교합니다. 2018년 11월, AWS는 기본 네트워크 라우팅 서비스의 최신 버전인 Transit Gateway(TGW) 를 출시했습니다 . 이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통해 고객은 허브 및 스포크 토폴로지의 여러 계정에 걸쳐 Virtual Private Cloud(VPC)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 기능 세트의 세 번째 진화입니다. 출시 이전 에는 2017년에 발표된 DGW(Direct Connect Gateway) 가 있었고 그 이전에는 VGW(Virtual Private Gateway) 가 출시되었습니다 . 이러한 옵션을 탐색하고 사용 사례에 맞는 옵션을 찾는 것은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2022. 5. 23.
[JENKINS] GITLAB 연동 및 웹훅 그리고 파이프 라인 설정 목차 보통 jenkins를 사용하면 new item으로 만들거나 pipeline으로 만드는데 new item 많이 해봤으니 pipeline으로 해보기로 했습니다. 1. GITLAB 플러그인 설치 대시보드 - 젠킨스 관리 - 플러그인 매니저에 들어가셔서 위에 스크린샷에 업데이트된 목록 다음 설치가능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오른쪽에 search 창이 있는데 거기에서 gitlab을 입력합니다. gitlab이 있을텐데 저는 설치 한상태라 왼쪽에 체크박스가 없습니다. 체크박스에 체크를 한뒤 아래에 재시작없이 설치 혹은 다운후 설치한뒤 재시작하는 버튼을 선택하여 설치해줍니다. 2. GITLAB 프로젝트와 JENKINS PIPELINE 연결 gltlab과 jenkins를 연결하기 위해선 두가지가 필요합니다. 1. gi.. 2022. 5. 20.
gitlab에 branch 없을때 처음 올리기 git branch [브랜치명] git add . git commit -m [message] git push 하면 에러발생함 fatal: The current branch TestFront has no upstream branch. git push --set-upstream origin [브랜치명] 2022. 5. 19.
[window]REACT설치 및 앱(프론트웹) 만들기 프론트 웹사이트로 react를 올리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react 설치하려는데 설치및 웹만드는 과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nodejs 다운 및 설치 후 npm으로 react 설치 입니다. reference: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dev-environment/javascript/react-on-windows 1. nodejs 설치(npm) https://nodejs.org/en/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에 들어가셔서 둘 중 하나를 받습니다. 저는 안정적인걸 좋아해서 왼쪽걸 받았습니다. 다운받고 일반적인 프로그램 .. 2022. 5. 19.
docker (centos) 한글(한국어) 설정 docker 사이트내부에 언어가 os 언어를 따라가서 docker OS 언어를 바꿔 주려고 합니다. 저의 설치 이미지는 amzoncorretto:8 입니다. 살펴 보니 centos라 패키지 매니저는 yum이라 이걸로 언어팩을 설치 했습니다. 문제는 언어 적용이었습니다. 내부에서 언어를 적용해도 이미 웹페이지가 실행되고 있어 확인할 길이 없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docker 에서 ps 명령어를 설치하는 방법도 알게 되었네요.. yum install -y procps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6982274/ps-command-doesnt-work-in-docker-container 이걸로 pid 를 얻어 kill 하니 컨테이너가 내려가버리는 상황이 발생하여 내부적으로.. 2022. 5. 19.
docker volume 과 bind mount의 차이 docker를 사용할때 볼륨을 지정하지 않으면 docker container가 내려가면 container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파일들(image로 만든것 제외)가 사라집니다. -v 나 --mount를 사용하여 저장할수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은 외부(호스트)가 관여 하느냐 마느냐 입니다. -v 는 호스트가 관여하지 않고 --mount 는 호스트가 관여한다고 보면됩니다. 보통 -v 옵션을 쓰는게 좋다고 합니다. bindmount의 경우 호스트에 관련된걸 사용하고 싶으면 사용한다고 합니다. 첫째, 가장 큰 것은 명명된 볼륨과 호스트 볼륨(바인드 마운트라고도 함) 간의 동작 차이입니다. Docker는 이미지 내용에서 명명된 볼륨을 초기화합니다. 여기에는 파일 소유자 및 권한이 포함됩니다. 이는 호스트 볼륨에서.. 2022. 5. 17.
AWS CodeDeploy BLUE/GREEN 배포 자세히 알아보기 목차 Blue/Green 배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이것이 무엇인지 이해해 보겠습니다. 블루/그린 배포는 다운타임 없이 또는 최소한의 위험으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의 새 버전을 배포하려는 배포 패턴입니다. 블루/그린 배포는 유사한 스택을 가져온 다음 이 새 스택에 새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여 달성됩니다. 트래픽은 현재 스택(블루 스택이라고 함)에서 새 스택(그린 스택이라고 함)으로 이동됩니다. 이제 이것이 무엇인지 다루었으므로 Blue/Green 배포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운타임 없음: 트래픽을 블루 스택에서 그린 스택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손쉬운 롤백: Green 스택이 정상이 아니면 역 프로세스를 따라 트래픽을 Blue 스택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습니다.. 2022. 5. 17.
소켓(socket)이란? 소켓이란 무엇입니까? 일반적으로 서버는 특정 컴퓨터에서 실행되며 특정 포트 번호에 바인딩된 소켓이 있습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연결 요청을 할 때까지 소켓을 수신 대기합니다. 클라이언트 측: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실행 중인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과 서버가 수신 중인 포트 번호를 알고 있습니다.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머신 및 포트에서 서버와 랑데부를 시도합니다. 클라이언트는 또한 이 연결 중에 사용할 로컬 포트 ​​번호에 바인딩되도록 서버에 자신을 식별해야 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에서 할당합니다. 모든 것이 잘되면 서버는 연결을 수락합니다. 수락 시 서버는 동일한 로컬 포트에 바인딩된 새 소켓을 가져오고 원격 끝점도 클라이언트의 주소 및 포트로 설정합니다. 연결된 클라이언트의 요.. 2022. 5. 16.
AWS ECR lifecycle(수명주기) 설정 ECS를 사용하려면 ECR에 이미지를 올려야 합니다. ECR에는 lifecycle이라고 해서 특정 태그를 지정하거나 안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일정 개수 이상일경우 이미지를 삭제 합니다. (일정개수 이상인경우 오래된것부터 삭제) 사용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ECR에 들어가서 repository에 들어가면 만들어 놓은 repository 가 나옵니다 lifecycle을 적용하고 싶은 리포지토리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왼쪽탭에 여러 기능이 나옵니다 그중 lifecycle을 선택합니다. 처음 생성하면 밑에 아무것도 없을것입니다. 오른쪽에 규칙생성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우선순위, 설명등 나오는데 위에서 설명한대로 조건을 줄수있는 이미지 상태, 매치범위(시간, 갯수)로 설정을 할수있습니다. 규칙작업은 expir.. 2022. 5. 16.
리눅스 shell 자동실행 https://joonyon.tistory.com/entry/Linux-%EB%B6%80%ED%8C%85%EC%8B%9C-%EC%8A%A4%ED%81%AC%EB%A6%BD%ED%8A%B8-%EC%9E%90%EB%8F%99-%EC%8B%A4%ED%96%89%EC%8B%9C%ED%82%A4%EA%B8%B0rclocal 2022. 5. 16.
nano 에디터 단축키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EB%A6%AC%EB%88%85%EC%8A%A4%EC%9D%98-nano-%EC%97%90%EB%94%94%ED%84%B0-%EB%8B%A8%EC%B6%95%ED%82%A4/ 2022. 5. 12.
비동기식(Asynchronize) 사용하는이유 서비스를 사용하다보면 동기식 비동기식 서비스를 발견할수 있는데 바로 볼수 있는 동기식이 얼핏보면 편해보였다. 하지만 이것은 너무나 빠르고 다양하게 지원을 잘해줘서 그런것이다. 그래서 이유는 1. 동기식을 지원하지 않아서 2. 결과를 보지 않고 빠르게 처리하고 싶기 때문에 이 두가지 이다. 2022. 5.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