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60

ECS CLI 설치(windows) ecs-cli --version 1. powershell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2. 아래명령어로 다운 New-Item -Path 'C:\Program Files\Amazon\ECSCLI' -ItemType Directory Invoke-WebRequest -OutFile 'C:\Program Files\Amazon\ECSCLI\ecs-cli.exe' https://amazon-ecs-cli.s3.amazonaws.com/ecs-cli-windows-amd64-latest.exe 3. GnuPG 웹 사이트에서 Windows Simple Installer를 다운로드하고 관리자로 설치합니다. GnuPG를 설치한 후 Administrator PowerShell을 닫았다가 다시 엽니다. 바로 다운로드 https:/.. 2022. 5. 2.
Windows powershell에서 환경변수 추가하기 Windows 환경 변수를 영구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에는 프로필에서 설정, SetEnvironmentVariable 메서드 사용 및 시스템 제어판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조회 $Env:PATH 입력 $Env:PATH += ";[경로]" 예를 들어 값Bar이 있는 새 환경 변수 Foo 를 컴퓨터 범위에 저장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Environment]::SetEnvironmentVariable('Foo', 'Bar', 'Machine') 시스템 제어판 사용하여 Windows 환경 변수를 영구적으로 변경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시스템 제어판 엽니다. 시스템 을 선택합니다. 고급 시스템 설정 선택합니다. 고급 탭으로 이동합니다. 환경 변수를 선택합니다... 변경을 수행합니다 Reference.. 2022. 5. 2.
aws copilot 설치(windows powershell) AWS Copilot은 고객이 AWS에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시작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CLI(명령줄 인터페이스)입니다 라는것을 설치 해봅시다. powershell 에서 아래를 실행하면 다운이 받아집니다. PS C:\> New-Item -Path 'C:\copilot' -ItemType directory; ` Invoke-WebRequest -OutFile 'C:\copilot\copilot.exe' https://github.com/aws/copilot-cli/releases/latest/download/copilot-windows.exe C:\copilot 위의 경로에 설치가 되는데 해당 경로를 복사하여 아래와 같이 powershell에서 환경변수를 추가하면 $Env:PATH.. 2022. 5. 2.
ECS 네트워크모드 모드 선택은 총 5개 default, 호스트, 브릿지, awsvpc, 없음 default 을(를) 선택할 경우 ECS는 Docker의 기본 네트워킹 모드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시작합니다. Docker의 기본 네트워킹 모드는 Linux는 브리지(Bridge) 그리고 Windows는 NAT 입니다. 은(는) Windows에서 유일하게 지원되는 모드입니다. (aws에서 번역된거 보면 이상하게 되어있음 Docker의 기본 네트워킹 모드는 Windows의 Linux 브리지(Bridge) 및 NAT 브리지(Bridge)입니다. 이런식으로 되어있다.) 호스트 호스트 모드를 사용하면 컨테이너의 네트워킹이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기본 호스트에 직접 연결됩니다. 네트워크 모드를 사용 하면 host컨테이너는 기본 호스트 Ama.. 2022. 5. 2.
AWS opensearch 도메인 처리중에서 멈추는경우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opensearch-domain-stuck-processing/ 2022. 5. 2.
iam 권한 관리 루트 사용자로 aws console을 관리하지 마라 반드시 IAM 사용자를 만들고 여기에 필요한 권한을 부여(심지어 billing 권한도 가능) MFA 인증을 기본으로 MFA 인증 활성화 방법 참고해서 MFA 인증을 태우자 비밀번호 길이 요구사항 활성화 90일 주기로 IAM access key 교체 안쓰는 계정 항상 정리 모든이에게 admin 권한을 주지 않기 IAM group 설계 고려하기 개발 리소스와 prod 리소스를 구별짓기 최대한 자원에서 필요한 계정을 쪼개서 관리하기 prod는 필요시 read only access를 주기 IAM Role assumption 사용하기 AWS Single Sign-On 검토 IAM 정책 지속적으로 타이트하게 관리하기 퍼온곳: http://www.kwangsikle.. 2022. 4. 29.
AWS 결제일 변경이 가능할까?(카드 하나에 여러계정) 카드하나에 여러계정이라 경리 쪽에서 보기 쉽게 결제일을 바꿀수 있을지 문의가 들어왔다. 생각해보니 카드는 가능한가? 카드하나에 여러 계정은 가능하나 결제일 변경은 제가 콘솔에서 바꿀수 있는 방법은 없어 보였습니다. 그래서 구글 검색을 해보았는데 답변이 나오질 않았습니다. 어쩔수 없이 물어 보았습니다. 기본 결제일에 결제된다고 하고 바꿀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합니다. 2022. 4. 29.
linux(ec2) 에서 백스페이스 입력시 ^H,^? 나올때 stty erase ^H stty erase ^? 를하면됨 https://syuda.tistory.com/151 백스페이스가 안되고 ^H, ^? 같은 문자가 입력될 때 안녕하세요. 슈다 입니다. 유닉스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다 오타를 수정하기 위해 백스페이스를 눌렀는데, 글자는 지워지지 않고 ^H, ^? 이런 문자들이 입력되는 경우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yuda.tistory.com 2022. 4. 27.
Amazon Registrar invoice 비용 보통 결제일인 3일에 영수증이 날라오는데 이상하게 22일에 1만원 단위로 영수증이 청구됐다. 확인해보니 Route 53에서 도메인 갱신하면서 발생한 비용이었다. 2022. 4. 26.
Throttling 이란? 과도한 요청이나 처리량이 생기면 과부하를 막기위해 처리량을 줄이거나 처리하는 머신의 스펙을 낮춰서 처리하는 방식 즉, 과도한 작업량을 줄이거나 작업처리량을 줄이는 것 https://12bme.tistory.com/504 [성능] 스로틀링(Throttling)이란? 스로틀링(Throttling)이란? PC, 노트북, 모바일 기기의 CPU, GPU 등이 지나치게 과열될때 기기의 손상을 막고자 클럭과 전압을 강제적으로 낮추거나 강제로 전원을 꺼서 발열을 줄이는 기능이다. 성능 12bme.tistory.com 2022. 4. 26.
aws ec2 사용하던 루트 ebs 옮기기 AWS ec2를 ARM 아키텍처로 올렸다가 문제가 생겨 x86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그런데 볼륨만 떼어서 마운트하려고하니 mount: [경로]: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dev/nvme1n1,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이런식의 오류가 발생하여 찾아보니 filesystem 오류란는 글들이 많았다. 하지만 방금전 ec2 생성하여 ebs 붙여서 이미지 대로 생성하여 운영하는것을 보았는데 파일시스템 문제는 아닐 것 같았다. 그리고 떼어낸 볼륨에 저장된데이터를 살려야 하기 때문에 포맷은 하기 싫었다. 그래서 arm 아키텍처로 이미지 생성후 마운트 시켜봤는데 또 안됨. 혹시 몰라서 root .. 2022. 4. 25.
Sftp 접속 및 명령어 sftp는 ssh와 같이 설치가 됩니다. 그래서 포트도 같이 쓰더군요 접속 sftp -i [pem key] [remote username]@[remote IP] 포트변경시 sftp -p [포트번호] [remote username]@[remote IP] 업로드 put [파일명] [새로운] put -r [디렉토리] reput [파일명] (실패 or 중단 재개) 다운로드 get [파일명] get -r [디렉토리명] rget [파일명] ls 원격의 디렉토리 내용 나열 (로컬은 lls) pwd 원격 작업의 디렉토리 이름 표시(로컬은 lpwd) cd 원격 디렉토리 변경( 로컬 lcd) 원래 쓰던거는 원격 l붙이면 로컬이다. 2022.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