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60 linux shell script) free에서 실제 사용 메모리 구하기 (awk 사용) 스크립트 연습할겸 free에서 나오는 실제 메모리를 구하려고 합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나와서 구분하기 어려웠습니다. #!/bin/sh echo "====================================" free | awk '{if($1 == "Mem:") print("Memtotal:" $2 " MemAvail:" $7)}' echo "====================================" free | awk '{if($1 == "Mem:") print("UsageRate: "($2-$7) /$2 *100 "%")}' free | awk '{if($1 == "Mem:") print("AvailRate: "$7 /$2 *100 "%")}' echo "==================.. 2022. 5. 11. docker in docker 와 docker out of docker 어떻게 보면 둘다 docker 안에서 docker 쓰는거지만 docker daemon을 같이사용하느냐 마느냐에 차이이다. 속도에 관련된 부분이 없고 보안상문제만 있는것 같다. 아래 설명을 바로 퍼온것 도커 컨테이너 내에서 도커를 실행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도커 내에서 도커 데몬을 실행하는 방식인 Docker in Docker(DinD) 방식과 사용중인 도커의 기능을 빌려서 사용하는 Docker out of Docker(DooD) 방식입니다. 그림을 통해서 동작 방식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Docker In Docker DinD는 도커 컨테이너 내에서 도커 데몬을 추가로 동작시킵니다. 실제 데몬을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커 데몬에 추가 권한이 필요합니다. DinD 도커를 만들 때 명령을.. 2022. 5. 10. cannot connet to the docker daemon.... 에러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 ///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도커가 실행이 안되어있다는... 그런데... 설치를 했는데 docker 실행이 되지 않았다. failed to mount overlay: operation not permitted storage-driver=overlay2 이러한 에러가 발생했는데 docker in docker 인 경우 마운트할 곳이 없다고 하여 에러가 발생한다. 참조: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7953609/overlay2-driver-not-supported 파일 시스템에서 보면 컨테이너 내에서 실행 중인 것처럼 보입니다... 2022. 5. 9. [jenkins]script.sh 1 docker not found .... script.sh 1 docker not found jenkins 실행하는 서버에 docker가 없어서 발생하는 에러 uname -a os 확인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io sudo ln -sf /usr/bin/docker.io /usr/local/bin/docker 2022. 5. 9. jenkins ecr 로그인 방법 build할때마다 로그인 하도록 jenkins파일 설정 stage('Build Server') { steps { dir('./server') { script { withAWS(region:'ap-northeast-2', credentials:'jenkinsaws') { def login = ecrLogin() echo "${login}" // 실제 로그인 sh "${login}" sh """ docker build -t 000000000000.dkr.ecr.ap-northeast-2.amazonaws.com/${DEPLOY_TO}-webserver . docker push 000000000000.dkr.ecr.ap-northeast-2.amazonaws.com/${DEPLOY_TO}-webserver ".. 2022. 5. 9. maven install 관련 에러 리눅스 메이븐설치 sudo apt-get install maven 윈도우 메이븐설치 https://zetawiki.com/wiki/%EC%9C%88%EB%8F%84%EC%9A%B0_%EB%A9%94%EC%9D%B4%EB%B8%90_%EC%84%A4%EC%B9%98 윈도우 메이븐 설치 - 제타위키 zetawiki.com mvn clean install -Dmaven.test.skip=true 메이븐 인스톨은 pom.xml을 따라서 하는데 거기서 설정값이 잘못되면 잘안될때가 있다. packaging 부분이 war가 아닌 jar로 되어있어서 에러가 났었음 java -jar [war파일] 해도 안됏엇던거임 2022. 5. 9. 메이븐(mvn) Unknown lifecycle phase ".test.skip=true" 에러 윈도우 파워쉘에서 mvn 실행하는데 에러 발생하였다. 아래와 같이 해줘야합니다. 일반적으로 Maven, svn 등에 Powershell을 사용하는 경우 대시(-)로 시작하는 모든 인수를 이스케이프 처리해야 합니다. Powershell의 이스케이프 문자는 백틱입니다. 따라서 mvn archetype:create `-DgroupId=blah `-DartifactId=blah. , '-'는 Powershell 콘솔에서 maven을 실행할 때 백틱으로 이스케이프해야 하는 특수 문자입니다. 2022. 5. 9. jenkins aws s3 pipeline 에러 .../script.sh : aws: not found 에러가 발생하였다. jenkins 서버에 aws cli가 없어서 안된다고한다. 설치를 해주면됩니다. 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WS Command Line Interface (amazon.com) 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WS Command Line Interface 설치 관리자의 아무 위치에서나 Cmd+L을 눌러 설치에 대한 디버그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로그를 필터링하고 저장할 수 있는 로그 창이 열립니다. 로그 파일도 /var/log/install.log에 자 docs.aws.amazon.com https://honeywater97.tistory.com/139 2022. 5. 4. jenkins, gitlab, nexus 최소사양,권장사양 Jenkins https://www.jenkins.io/doc/book/installing/linux/ Linux After downloading, installing and running Jenkins using one of the procedures above (except for installation with Jenkins Operator), the post-installation setup wizard begins. This setup wizard takes you through a few quick "one-off" steps to unlock Jenkin www.jenkins.io GitLab https://docs.gitlab.com/ee/install/requirements.html Gi.. 2022. 5. 4. linux adduser useradd 차이 일반적으로 홈디렉토리 차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밖에 여러 설정을 할수 있긴함 adduser 편하게 useradd 자세한 옵션 sudo useradd -M ubuntu -p [password] passwd 비밀번호 변경 2022. 5. 4. ec2 중지중 오류 해결 리소스 과도하게 먹어서 하드웨어가 먹통되어 중지중에서 멈춰버린듯 하다. 강제중지 했다가 안되면 aws에 문의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TroubleshootingInstancesStopping.html 인스턴스 중지 문제 해결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2022. 5. 4. ec2 유형 변경 AWS 인스턴스 유형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는 다음 2가지가 있습니다. 1. 첫 번째 방법 AMI 이미지 생성 후 해당 이미지를 복원하여 신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 이 방법은 서버 downtime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VPC, Subnet, Security Group 등 설정 필요함 2. 두 번째 방법 현재 인스턴스 그대로 유형만 변경하는 방법. 매우 편리하지만 서버 운영을 잠시 중단 하였다가 다시 시작해 주어야 함 두 번째 방법으로 EC2 인스턴스의 유형 변경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스턴스 중지 EC2 대시보드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인스턴스 선택 후 작업 > 인스턴스 상태 > 중지 선택 2. 변경 유형 선택 인스턴스 중지가 완료 되면 작업 > 인스턴스 설정 > 인.. 2022. 5. 4.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64 다음 반응형